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3258] Re:열정
남병철.레조 [lezo] 2244 읽음    2007-08-08 14:46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찾아야할 것이 열정이라면...
열정과 정열...이 잘 타려면 "재미"가 있어야한다....

열정 : [명사]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
정열 : [명사]가슴속에서 맹렬하게 일어나는 적극적인 감정

정열은 정말 엔진같은 파워의 원천이네요;;
열정은 파워도 있지만 마음의 상태를 의미하는듯한 느낌...;;
즉, 시작하기 좋은 시기는 열정과 정열이 모두 충만한 젊은 시절이 되겠네요...

젊음 : [명사]젊은 상태. 또는 젊은 기력
뭔가 설명이 부족한듯...
젊음에 대한 좋은 문구 하나를 소개합니다. (화이트헤드)
The deepest definition of youth is life as yet untouched by tragedy...
(젊음에 대한 가장 심오한 정의는 삶이 아직 비극에 물들지 않은것이다.)

비극 : 인생의 슬프고 애달픈 일을 당하여 불행한 경우를 이르는 말.
(젊을 수록 이런 일이 적고 쉽게 잊고 다시 내일을 살 수 있는듯...)

비극의 중심은 않좋은 일들에 의해 불행을 느끼는 것인데...
바로 행복하지 못한것...

행복 : 복된 좋은 운수. ≒행우(幸祐).

...
운수
... -_ -;

젊고 열정과 정열이 넘치는 때가 시작하기 좋고 발전하기 좋은 때인데...
그 중심에 이르니... 운수라... -_ -;

네이버 국어 사전의 한계로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
운수라 -_ -;
...

복된 운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열정과 정열을 불태워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겠네요... +_ +

생각 : 사람이 머리를 써서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 ≒의려(意慮)·지려(志慮).

머리를 써서... 자신의 주관이 되겠네요...

자신이 판단하기에, 복된 운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열정과 정열을 불태워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겠네요... +_ +

결국 근원은 자신에게 있네요;;

일어나는 일들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복된 운수로 승화시켜 열정과 정열을 불태워서 행복한 삶을 만들어가면... 재미있겠네요? +_ +;;



류종택 님이 쓰신 글 :
: "열정"

: 본인은 모든 일의 성공의 열쇠 중에서도 단연 "열정"에 큰 비중을 둔다.

: 열정이 없다면,
: 언제나 만날 수 있는 장애물을 넘어가기 위한 에너지를 갖추기가 어렵다.

: 물론,
: 끈기와 인내로 부족한 열정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 하지만,
: 참고 견디는 것만으로 자신의 능력을 100%로 끌어 내기에는 너무나 어렵다.



: "열정을 불러 일으키는 에너지:

: 열정 자체가 추진력을 일으키는 에너지가 되지만,
: 열정을 불사르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 열정이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지거나,
: "열정이여 솟아라" 라고 외친다고 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 고민하고 노력해서 얻어질 수 없는 열정을 위해,
: 고민하고 노력하며 지쳐가는 이들도 자주 보게 된다.

: 열정은,
: 마치 성난 불처럼,
: 스스로가 타오르려는 성질이 있다.

: 잘 탈 수 있는 에너지만 충분하다면,
: 열정은 끊임없이 타오르게 된다.

: 그 에너지는 바로 "재미" 라고 한다.
: "흥미", "호기심" 으로부터 타기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 "재미는 무엇인가?"

: 그럼 재미란 존재는 무엇인가?
: 어떻게 해야 재미라는 연료를 내 안에 가득 채우게 할 수 있을까?

: 지극히 개인적인 한 가지 의견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 재미란,
: 우리의 생각(뇌라고 해도 좋다)이 새로운 움직임을 요구 받을 때 생기는 에너지다.

: 새로운 움직임이란,
: "참신하다" 를 포함한다.

: 마냥 보던 것은 지겹다.
: 그것은 뇌가 이미 해당 정보를 처리할 방법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 크게 집중하지 않아도, 무의식 수준에서 일이 처리된다.

: 어른들은 어린아이처럼
: 자신이 걸음을 걷는데 집중하거나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
: (만약 그렇다면, 정신과에서 상담 받기를 권한다 ^^;)

: 하지만,
: 새로운 움직이라고 해서 모두 뇌가 반기는 것은 아니다.
: 그 움직임이 뇌의 피로와 이해의 한계를 넘어서면 안 된다.

: 물론,
: 지극히 개인적인 본 의견이,
: 복잡한 인간의 정신활동을 감히 결론으로 이끌어 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하지만,
: 적어도 "새로운 흐름은", "참신한 대상은", "생각지 못했던 현상은"
: 재미있다!

: 그 정도가 너무 미비하거나 너무 커서 재미보다는
: 지루함이나, 두려움 또는 짜증을 느끼는 수준에 이르지 않는 다면 말이다.



: "열정의 1차 장애물"

: 본인은 컴퓨터 프로그래머이다.
: 본인은 프로그래밍 그리고 분석/설계 등에 대한 강의를 하며 살아간다.
: (아직 대부분 수입은 프로그래밍 개발로 인해서 발생한다)

: 프로그래밍에 입문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아왔고,
: 따라서,
: 프로그래밍 입문에 있어서의 열정에 대한 1차 장애물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다른 분야라고 해서 별다를 것은 없다.

: 정히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야기가 거슬리면
: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을 영어를 배우는 것으로 생각하라.
: 프로그래밍도 하나의 언어일 뿐이다.
: (기계를 위한 언어)

: 이미 거론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 재미를 느끼려면,
: 우리의 생각(뇌) 또는 인지력의 수준에 맞는 자극이 필요하다.

: 하지만,
: 실패하는 대부분의 입문자의 경우에는
: 새로 시작하는 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 재미를 느끼며 흐름을 쫓아가고 이해할 능력이 부족하다.

: 그렇게 때문에,
: 온통 새로운 것뿐인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지기 전에 지쳐버리는 것이다.

: 익숙한 것은 재미가 없다.
: 하지만,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흐름을 쫓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익숙함이 필요하다.
: 결국, 재미없는 반복 과정을 견뎌내서 흐름을 따라갈 수 있는 정도의 숙련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 역설적이다.
: 익숙해져야 재미를 느낄 자격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 익숙해져야 할 대상은 분명하다.
: 바로 대화의 능력이다.
: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법에 익숙해져야 한다.

: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이해하고 그와 사랑에 빠지거나 일상생활의 재미를 느끼려면,
: 영어로 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 아니면, 그에게 한국어를 가르쳐라.
: 하지만, 컴퓨터에게 인간의 자연어를 가르치려는 시도는 아직 한참 이르다.

: 1차 장애물을 통과하는 요령은 단순하다.
: 반복하라.  지겹게 반복하라.
: 익숙해 질 때까지!

: 요령은 공략하기 쉬운 곳부터 점령하라!

: 작은 승리를 통해서라도 자신감을 갖추게 되면,
: 이는 곧 재미로 이어지며,
: 열정이 타오르는 계기가 될 것이다.



: "1차 장애물을 넘는 자들의 유형"

: 강의를 하다 보니,
: 1차 장애물을 넘는 사람들에게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 첫 번째 유형은,
: 지식의 조각들을 모아서 대상을 이해하려는 유형이다.

: 현재는 프로그래밍을 예로 들고 있으니,
: 대상이라 함은 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체계이다.

: 영어와 같은 인간의 자연어와 같이
: 프로그래밍에 있어서도 기초적인 문법체계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 컴퓨터와 대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더욱이 컴퓨터는,
: 여러분들의 자그마한 문법적인 실수조차 이해하지 않으려고 고집을 피울 것이다.

: 대부분 이 유형들은 얼마 못 가서 지쳐버린다.
:
: 1차 장애물을 넘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 이해의 부족이 아닌 익숙함의 부족이다.
:
: 두 번째 유형은,
: 직관을 활용하는 부류이다.
: 본인은 이들을 "센스 있는 사람"들이라고 부른다.

: 이 부류들은 자신만의 언어로 대상을 이해하는 힘이 있다.
: 쉽게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금새 익숙해져 버린다.

: 이런 부류들의 대부분은 초.중급 수준에서의 고속 성장에 비해,
: 고급으로 가는데 상당히 애먹게 된다.
: 이른 바, 슬럼프에 깊이 빠진다.

: 그렇다고 해도,
: 1차 장애물을 넘는 데는 "센스"가 많은 도움이 된다.

: 그로 인해서 재미없는 영역에서 빨리 탈출하게 되고,
: 열정을 불사르게 되는 것이다.

: 자신이 "센스"가 없다고 해서 낙심할 것은 없다.
: 재미를 느끼는 것은 아무리 무딘 사람도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 다만,
: 너무 자신의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대상을 이해하려고 하지말고,
: 대상에게 익숙해지려고 노력하라.

: 그리고,
: 지나치게 "센스"에 의존적인 사람들은
: 어느 수준에 이르게 되면,
: 반드시 재미없는 기본기(이론적 지식)에 충분한 투자를 해야 한다.

: 그것을 게을리 하면,
: 2류로써 평생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


: 출처 : http://ryujt.springnote.com/pages/405815

+ -

관련 글 리스트
13256 열정 류종택 2524 2007/08/08
13258     Re:열정 남병철.레조 2244 2007/08/08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