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우선 졸업 축하드립니다...
학벌 전혀 안보는 회사도 있고 보는 회사도 있고요, 영어 회화나 토익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회사도 있습니다...만, 신입이라면, 어차피 당장 써먹을 만한 기술을 갖고있다고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만 충분하다면 어렵지 않을꺼예요. 동료 학생들에 비해 특별히 우수한 실력을 가졌다는걸 객관적으로 보일 수 있다면 좋겠죠. 다만, 학교에서의 실력 기준과 현업에서의 기준은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고요. 수업시간에 배운거 줄줄 읊어봐야 현업 개발자들에게는 별 감흥을 주긴 어려워요. 학업 성적이 특별히 좋았다면 성실성 부분에서 좋은 인상을 줄 수는 있겠네요. 뭘 배웠는가보다는, 배우는 과정에서 이런 어려움이 닥쳤을 때 이런 식으로 해결해 나갔다... 라는 문제 해결의 히스토리를 미리 좀 준비 해놓으시면 최소한 심리적인 가산점은 받으실 수 있을꺼예요. 포트폴리오를 잘 준비해서 보여주시면 특히 좋고요... 동급의 학생들이라면 충분히 만들 수 있을만한 수준의 포트폴리오보다는 확실하게 뛰어나야 효과가 있어요. 과제용으로 만든 소프트웨어 등등의 고만고만한 수준이면 그닥 참고하지 않을꺼예요... 졸업작품의 경우... 보통 팀으로 하쟎아요... 독자 수행 했다거나, 팀이었지만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을 경우엔 꼭 어필을 하시고요. (역할이 작았는데 부풀리거나 하면 면접관들이 다 알아요... 오히려 점수 깎이죠...)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수상이라든가 대기업 소속의 프로그래밍 스쿨 수료나 멤버십 등의 이력이 있다면 꼭 밝히시고요. 없는 것 보다는 분명히 나아요. 본인이 소망하는 특정 분야가 있다면, 그 분야를 최대한 미리 많이 공부해두는 편이 좋아요. 이 사람하고 일하면 빨리 배워서 좋은 동료가 되겠구나... 하는 인상을 줄 수 있느냐가 아주 중요하거든요. 부디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래요...!!! 데브기어에서 진행하는 취업지원 교육과정을 참고해보세요.
http://www.devgear.co.kr/support/education/master/ 델파이의 경우 구직 희망자보다 구인 업체가 더 많습니다. 위 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용 프로젝트 과정 후 취업연계도 지원하니 취업의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아무래도 IT 쪽이 학력이나 학점에 대한 요구가 다른 분야보다는 덜 합니다.
(없다고는 말하기 힘들구요 ^^;) 제가 아는 분들 중에는 고졸 출신도 있구요. 대학 중퇴, 심지어는 대학을 나오긴 했는데 이과가 아닌 연극영화과 출신분도 있습니다. (이 분 같은 경우는 우연히 IT쪽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자기 적성에 잘 맞아서 전직을 하신 케이스) 대신 다른 사람들한테 어필 할만한 "꺼리"는 분명히 준비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비록 학점이 안좋거나, 좋은 대학을 안나왔다 하더라도 내가 놀았던 건 아니다 내 나름데로 이런걸 만들어 봤다. 혹은 이러이러한 경험을 쌓았다고 보여줄게 있어야 합니다. 면접을 볼 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눠보면 어느정도는 견적이 나오거든요. 아무튼 너무 움츠러들진 마시구요. 자신감을 가지고, 이것 저것 준비해보세요. 화이팅하시구요!!! (^0^)/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이 바닥에는 학벌이 다양합니다.
대졸은 물론이고 석사도 흔하구요 박사도 가끔 있고, 고졸도 많이 있습니다.
SKY를 나오면 면접이나 서류전형에서 좀 유리한 면도 있긴 합니다만,
중요한 건 실력과 인성입니다. (성형수술은 안 해도 됩니다. ^^ )
처음에는 실력이 중요한 듯 하나, 시간이 지나고 보면 실력은 물론이고 인성도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됩니다.
실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80%, 인성을 훈련하기 위한 노력을 20% 정도로 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