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8729] 블로그글 소개 "순수 개발자가 CIO에게 외면받는 8가지 이유"
크레브 [kkol] 3959 읽음    2010-10-29 11:08
인터넷 구경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글인데 괜찮아서 링크 걸어둡니다.

"순수 개발자가 CIO에게 외면받는 8가지 이유"
http://calmglow.egloos.com/3905397

개발자 입장에서 쓴 글이 아니라서 수긍하기 어려운 점도 있지만
초보 개발자를 벗어나서 회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발자로 커가다 보면 한번씩은 생각해 봐야할 문제들인것 같군요
물론 모든것을  CIO 입장에서 생각할 줄 안다면.. 개발 보다는 관리직을 생각해야겠죠.
비단 개발뿐 아니라 어떤 일을 하더라도 상대방을 입장을 조금 더 생각해 보고 얘기를 하면 업무를 부드럽게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남병철.레조 [lezo]   2010-10-29 13:50 X
뭔가를 개발하려할때 비슷한 유혹?을 받는다는걸 부인 할 수는 없지만 ㅎㅎ
경험상? 그렇게 했을경우 자신이 세운 계획보다 훨씬 많은 시간이 들어갔던것 같습니다.
평소 로직 설계에서 익숙한걸로 결과물을 만들고 로직 트레이닝은 그것 대로 계속해서 실무에는 익숙해진 로직을
적용하는게 여러모로 생산성이 좋았습니다.(MS도 생산성을 외치는 시대가 되었네요 ㅋ)

다만 이런 두가지? 삶을 살게되는 개발자의 속성이 보이지 않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좀 더 시간이 지나 개발자의 상급자들이 개발자들로 채워지면 어느정도 해결되겠지만 이때는 또 다른 문제가 있을것입니다.
개발자가 상급자가 되었을때는 정말 사람이 되어야 할듯 합니다. ㅎㅎ
저도 자기자신에게 엄격한 편이라 제가 상급자가(관리자?) 되었을때 팀원들에게 그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지 않길 바랍니다. --;;
bluewing [bluewing]   2010-10-29 13:54 X
"기술을 뽐내기만 하지 실제적으로 필요한 것을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이거 적극 동감입니다.
제작년과 작년에 걍 Ajax 기술자랑을 하는건지.. 아니면 Ajax연습용 프로젝트를 하는건지..
기능 안정성이나 합리적인 사용방법 같은 건 안드로메다로 날려버리고 Ajax치덕치덕 발라대기에만 광분한 개발자 두세명하고 대판 싸우다시피하며 보냈었던지라..  완전히 녹초가 되었었거든요.
Lyn [tohnokanna]   2010-10-29 14:46 X
개인적으론 공감이 안가네요 -_=a

저걸  다 한다고 수 있으면 기획자랑 매니저한테 줄 돈 개발자한테 몰아주는것도 아닐텐데....

유닛 잘못컨트롤해서 게임 졌다면 프로게이머 잘못이지 유닛잘못이 아닌것처럼
크레브 [kkol]   2010-10-29 15:34 X
당장 돈이 없으니까 SCV한테 미네랄을 대충이라도 좀 빨리 캐와 달라고 얘기 했는데
순도99.9%의 양질의 미네랄만 캐겠다고 고집부리며
처음 일정보다 2배의 시간이 지나도 계속 미네랄만 캐고 있다면
단순히 유닛 콘트롤만의 잘못 일까요? SCV도  잘못이 있을까요?
물론 공감이 안갈 수도 있지만....
간단하지는 않은 문제입니다.
남병철.레조 [lezo]   2010-10-29 16:41 X
오.. 그 SCV는 한번캐면 미네랄 한덩이를 가져오나요? +_ +;;
까막.윤창희 [ggamagui]   2010-10-29 17:28 X
난이도가 높거나 복잡한게 아니고.
제품의 질은 떨어지더라도 빨리 개발.

뭐 대체로 이렇게 이야기 하는 사람치고 난이도가 낮고 간단하거나 제품의 질을 따지지 않는 사람 못봤습니다.
또한 눈에 보이는 것과 반대로, 그 눈에 보이게 하려면 하부에서 어떤 복잡한 작업을 해야 하는지 이해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서로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목에 핏대 세우려는 것으로 밖에 안보이네요.
크레브 [kkol]   2010-10-29 17:43 X
까막님 누가 핏대를 세웠다는 건지요? 본문 내용도 그렇고 링크 원문도 전혀 공격적인 의도는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까막.윤창희 [ggamagui]   2010-10-29 17:58 X
본문 내용이나 여기 덧글에서 그런 말이 있었다는 것은 아니였습니다.

오해를 불러 일으킬 만한 글이였네요.
사과드립니다.

단지 해당 내용이 서로간에 그렇게 될 여지가 많다는 의미의 글이였습니다.
해당 링크의 서두에 개발자의 입장에서 쓴 글도 있었으니까요.
크레브 [kkol]   2010-10-29 18:14 X
아.. 그런 의미가 아니었군요.. 저도 좀 이상해서.. ^^
저도 위 링크 글에서 모든 내용을 공감하는 것은 아닙니다.
크레브 [kkol]   2010-10-29 18:17 X
레조님/ 전 저그만해서 SCV하고 안친해요 ^^;
크레브 [kkol]   2010-10-29 18:20 X
관계없는 내용이지만, "한국에서 소프트웨어엔지니어로 성공하는법"이라는 짧지만 재밌는 동영상이네요 ^^
http://www.youtube.com/watch?v=mKGhBtQI1iA&feature=player_embedded
남병철.레조 [lezo]   2010-10-29 23:11 X
"우리 꿈을 가지고 우리가 살아야지 이 사람 보고 살 수는 없는 겁니다."

ㅎㅎ 공감가는 말이네요. 빌게이츠나 스티브잡스를 보면 그 들이 될 수 없습니다.
그들이 무엇을 보았는지를 보아야 그나마 비슷한 가능성을 느낄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있는 시대를 읽어야합니다. 지금이 20년전과 같을수도 없고 그 당시의 기회들이 있을 수도 없습니다.
이미 그 기회의 자리는 경쟁으로 산전수전 다 격은 공룡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ㅋ

스타2를 보다보면 정찰이 중요한데... ^^; 자기 빌드오더대로만 해서는 당연히 고수의 세상에서 당합니다. ㅋ
정찰의 중요성... 이미 2500년전 손자가 말한 지피지기.. 모두 일맥상통하네요.ㅋ

지피지기를 처음 공부했을때 너무 단순한 내용들에 좀 실망?도 했는데 시간과 경험이 조금씩 쌓이면서 생각해보니
삶의 타성과 자신에 대한 과신이 가장 문제인것 같습니다.
경험과 실력이 늘어날수록 잊지 말아야할 공기와 같이 소중한것...  정찰입니다. ㅡㅡ;
Lyn [tohnokanna]   2010-10-29 23:48 X
레조 // 날빌갈땐 정찰 안해도 되요 (...)
비밀 [roseria]   2010-10-31 12:51 X
Lyn // 날빌 프로젝트 인가요 (...)
저는 브론즈리거 입니다. 언제 실버 될지 까마득한 ...

+ -

관련 글 리스트
18729 블로그글 소개 "순수 개발자가 CIO에게 외면받는 8가지 이유" 크레브 3959 2010/10/29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