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미노 [wyb330]
2010-03-03 11:28 X
그럼 이제 북한이 리눅스 기반 데스크탑을 사용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는건가 ^^
구하기 어렵겠지만... 진짜 써 보고 싶어지네요.
kldp 에 "Stand Alone Complex" 님이 링크해주신 스크린샷 많은 곳입니다. http://ashen-rus.livejournal.com/4300.html 그러고보니 링크해주신 기사의 이미지 출처가 저 곳이네요. 참고 링크도 없이 긁어다 워터마크 박아버리는 센스는 뭔지... 리눅스 + Win32가 맞는 것 같네요..(아마 WINE이겠죠?)
휴지통을 회수통이라고 하는군요.. 버리지 않고 회수한다....음.. .공산주의적인 발상 같은데...( 그 회수가 아닌가? ㅡㅡa ) 년도 표시를 "주체99(2010)-02-24"라고 하는 것도 특이하구요.. (얼마 안된 화면이네..) 민성기님이 알려주신 원본 링크에 있는 화면에.. Firefox로 www.mozilla.or.kr/kr/ 사이트를 열어 놓고 있는데...(대한민국용 사이튼데...^^; ) Firefox의 스크롤바가 XP의 것과 같은 것 같은데..(파폭이 원래 그런가요? 안 써봐서리..) 스크롤바 위 아래에 있는 스크롤 버튼이 위의 것과 아래 것의 모양이 다른 것도 이상하구요..(이것도 파폭이 원래 그런가요? ) 첫 장에 DVD케이스에 DVD-R이라고 써있는건 이 디스크가 구운거라는 걸까요? 아니면 그냥 케이스만 그런건지도... 암튼... 북한도 전산쪽에서는 어쩔 수 없이 외래어를 쓸 수 밖에 없나보군요... ^^; 콤퓨터.. "내나라" 가 기반으로 한 불여우가 처음 실행되면 http://www.firefox.com/ 으로 가게 되고,
여기서 로케일 설정에 따라 적절한 화면을 보여주는데, 북한의 ko-kp 역시 언어설정은 ko 니까 저기로 가게 되나 보네요. 참고자료는 요기 : http://kldp.org/node/48570 티모사도 저렇게 리눅스 + WINE 으로 갔다면 좋았을텐데... GPL을 지켜야 해서 골룸이었겠지만요~~ 북한은 수출 제한대상이라 GPL에서도 치외법권인건가요... T모와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죠. 저건 러시아 사람이 북한에서 구매한 뒤 귀국해 자기 컴터에 돌려본 내용을 블로그에 올린 거니까요.
구글번역으로 영어로 바꿔보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요. ^^; http://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ru&tl=en&u=http%3A%2F%2Fashen-rus.livejournal.com%2F4300.html 머... 리눅스+WINE 형태가 남의 것을 엄청나게 많이 가져다 써야 한다는 것이 (개발자의 자존심으로써는) 짜증나는 현실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현실적으로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나도 WINE을 처음 봤을 때에 비슷한 생각을 많이 했다는... 안하길 잘했어... 나에게 가장 필요한건 역시 절제야...절제....참아야 해... ^^ )
T모 역시도 거기에서 벗어나지 않는 수준인 거라고 생각하는데 본인들이 아니라고 하니 원...(아닌가보지 머.. 맞다고해도 누가 뭐라 안 할 것 같은데.. 그게 더 낫지 않나? 차라리 당당하게..) 암튼... 지켜 봅시다. 리눅스에서 윈도우즈처럼 보이는 테마가 있습니다.
http://www.techmixer.com/make-xp-look-like-fedora-using-fedora-transformation-pack/ 그중의 하나. 중국에서는 윈도우즈 테마 들어간 리눅스가 끼워져서 배포되었던 적도 있었던걸루 기억합니다. 요거 테마 깔아서 배포하면 리눅스 배포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도 -_-; 이런 글도 있군요.
http://techie-buzz.com/linux-news/red-star-os-linux-distro-north-korea.html ... 김정일이 이 OS를 밀고 있지만, 일반인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아직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때문에 많은 이들은 이 딱딱한 운영체제 대신 윈도 XP나 윈도 비스타를 즐겨 사용한다. ... 라고 합니다요~~ ^^;; 아무튼 호광님~~ 구입하실 때 저도 좀~~ 굽신굽신~~ ^^;; 김도완님 //
아마 그게 RedFlag 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http://en.wikipedia.org/wiki/Red_Flag_Linux 그러고보니 붉은별, 붉은기... 여기에 쿠바의 Nova OS (http://www.youtube.com/watch?v=uTXIzaxfox4) 까지 더하면 "Communix 삼종세트" 가 되는건가요? 크크크... 우싱훙치가 맞죠... ^^ ㅠㅠ 무식이 오픈된 운영체제의 경우 알다시피 취약점도 오픈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암호화를 한 겁니다 많은 서방의 정보 기관이 훙치 행정판을 구하려고 별의별 짓을 다했지요 사이트는 http://www.redflag-linux.com/en/ 입니다만, 별 것이 없습니다. 아시아 리눅스 라는 공동 프로젝트가 DJ 때 있었는데 이 때 개발된 결과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에 MS의 횡포가 심각했거든요(MS 입장에서는 공공 기관도 해적판을 사용한다는데 더 경악했겠지만)
변경된 것은 리눅스 보안 취약점과 인트라넷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 그리고 스마트 카드 부분, 로그 남기기 등입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소스도 제공 안되고 폐쇠적으로 인스톨됩니다. 몇몇 도메인으로 접속 로그가 자동으로 넘어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무래도 보안적인 면인 것 같습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