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7536] C++Builder 라이센스에 대한 아이디어...
남병철.레조 [lezo] 3026 읽음    2010-01-17 00:14
잠깐 빌더 관련으로 구글 검색을 하다가 떠오른 생각입니다...
그냥 지나칠까 했지만 빌더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 현재 C++Builder 2009 Pro.와 2010 Ent. 정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흠.. 개인 소장과 학교 소장?으로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한가지 아쉬운 점이 계속 생기네요...
다른 학생들에게 가르쳐 주려고 하는데 적당히 사용할 툴이 없습니다.
트라이얼 받아서 좀 가르치다보면 시간 다 지나고 --;;
주변에서 빌더를 구하기 너무 힘든것 같습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방법은 손을 끊은지 좀 되서 ^^;;)

정품 이라 할 지라도 여러번 설치가 안되고 회수 업데이트를 해야합니다.
편법으로 학생들에게 알려주고 공부 시키려해도 여간 불편합니다. (한 두번 하려다 포기.. --;;)

그러던 와중에 두가지를 합친 트라이얼은 어떨까 생각합니다. 거기에 온라인 유저서치를 넣어서...
예를들면...
현재 빌더 정품에는 횟수 제한 기능이 있습니다. 물론 갱신 가능합니다.
트라이얼은 날짜 제한... 이 두가지 제한 기능 합치고 그 대가로 유저 패턴 분석을 해서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백그라운드 루틴을 만들어두면 빌더를 쓰는 사용자들의 패턴과 잘 못된 습관 혹은 메뉴 접근 순서 등을
살펴보고 가이드라인이나 세미나시에 서로 공유해서 더 발전된 개발툴의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지 않을가요??

그런 제품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저는 한 학생에게 빌더 중에 유저서치 버전을 설치하라고 한 후 C++부터 차근차근 가르칠 수 있을 것 입니다.
유저서치 버전의 경우 트라이얼처럼 만료되는 시점 혹은 틈틈히 사용자 사용 정보나 투데이 설문 등을 사용자로 부터
받습니다.  (적당히 부담 없는 빈도로...)

이렇게 되면 물론 온라인 접속이 가능해야 사용가능 할 것입니다. (만료 시점에만 채크하거나...)

아무튼 최신 버전의 가능성을 예비 개발자 혹은 벤치마킹 개발자를 위한 뭔가 대안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거기에 좋은 가이드 서적들이 주욱~ 나와 준다면 금상 첨화...

흠... 불법 복제 말고 정상적인 방법의 저변 확대는 없는걸까요... -,-;;
(쩝... 웬지 학생들이 최신 버전의 맛을 볼 방법이 너무 부족하네요.)
남병철.레조 [lezo]   2010-01-17 00:21 X
문득 다른 생각이...
빌더로 빌더 최신 버전의 UI를 만들고 개발은 콘솔과 윈32 환경만 활성화... -,-;;;
그래도 UI 친숙도는 올라갈 것 같습니다.
다만.. 컴파일러를 최신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
ㅋ.. 디버깅... -_-; 만들려다 참아야 겠습니다. ~_~;
Lyn [tohnokanna]   2010-01-17 01:20 X
근데 VC도 마찬가지에요... C#도 그렇고

익스프레스로 실습할 순 없으니까.(MFC 없고 폼디자이너 없으니..)
Lyn [tohnokanna]   2010-01-17 01:21 X
요즘 UI 보면 세세한 부분이 아쉽긴 함 델파이 ㅡㅡㅋ;
둘리.CSIEDA [dooly386]   2010-01-17 10:38 X
우리가 어떤 제품을 살때는 항상 그 제품에 투자하여 얼마나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는지를 생각합니다.
또한 그 생산적 가치가 투자한 비용보다 월등히 많은 이득이 있어야 겠죠.
이러한 이득은 크게 2가지로 볼수 있겠죠. 하나는 경제적인 이득, 다른 하나는 학문적인 이득.
처음 배우고자하는 학생들이나 기타 입문자들은 경제적인 이득을 취하기는 , 그것도 S/W 시장에서 , 아주 힘들고,
또한 입문자들이기 때문에 학문적/기술적 이득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정품을 사서(여기서는 상업적 정품입니다.) 사용하라고 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맞을지 모르나 현실적으로 다소 현명하지 못한 판단입니다.
입문자를 위하여 최신의 툴을 선보일 수 있는 보다 편리한 접근 방법이 준비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codegear 의 경영적/영업적 선택이 있어야 겠죠.

+ -

관련 글 리스트
17536 C++Builder 라이센스에 대한 아이디어... 남병철.레조 3026 2010/01/17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