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tiobe_jan_2010.png
36.5KB
2% 이상의 점유율을 가진 상위권의 언어들을 보면 php 하나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라는 것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아래로도 맥과 아이폰의 배경을 갖고 있는 오브젝티브 C와 구글의 배경을 갖고 있는 Go를 제외하면 델파이와 크게 다르지 않게 다 하락 추세죠. 일부에서 스크립트 대세론까지 주장하던 루비,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펄 등의 스크립트 언어들까지 일제히 다 상당한 폭으로 하락해있습니다. 따라서 델파이가 특별히 하락했다고 보기는 힘들죠.
게다가, 델파이의 경우 원래 해마다 연초~늦봄까지 델파이 사용자 점유율이 떨어집니다. 그러다가 여름 초입부터 급상승을 하고 초가을~연말까지 절정을 이루고 다시 연초에는 떨어지죠. 델파이의 경우 해마다 연초 부근의 등락의 폭이 커서 연초의 점유율 변화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이건 다른 언어들에 비해 매니아 개발자들의 비중이 커서 그런 것으로 추측되고요. 그런 계절적인 경향에 위에서 말한 전반적인 하락추세까지 더해져서 더 많이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 효과가 있죠. 그건 그렇고, 델파이와 파스칼을 동족상잔시켜놓는 만행은 세월이 가도 여전히 그대로네요. 저대로라면 델파이의 클론인 프리 파스칼조차도 파스칼로 카운트됩니다. 이건 닷넷과 모노를 떼어놓는 것과 마찬가진데, 위 순위를 보면 모노의 C#을 떼어서 카운트하지는 않죠. 심지어는 델파이 자체도 과거 델파이 7까지는 언어 이름을 델파이 언어가 아닌 오브젝트 파스칼 언어라고 불렀었기 때문에, 델파이 구버전들에 대한 웹 페이지들의 상당수가 오브젝트 파스칼의 제목으로 올라가 있고, 따라서 델파이 페이지임에도 상당 부분이 델파이가 아닌 파스칼로 카운트될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파스칼이라고 따로 순위를 매겨놓은 순위의 대부분이 실제로는 델파이 페이지라는 거죠. 그리고 그와 정반대로 전혀 다른 언어들인 예전의 비주얼베이직과 비주얼베이직 닷넷을 합쳐놓은 비주얼베이직 카테고리는, 계절성도 없고 매번 순위 발표때마다 꾸준이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도대체 구버전 VB에서 폭락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VB.NET에서 폭락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제가 보기엔 구버전 VB도 하락하고는 있겠지만, 급락의 주범은 VB.NET으로 보이는데요. 그리고 VB.NET에서 떨어져나온 개발자들의 반 정도는 C#으로, 그리고 나머지 반 정도는 자바나 웹 스크립트로 이동한다고 보는게 맞을 겁니다. 위에서 보이는 C#의 소폭 성장이 바로 VB.NET의 하락분의 일부라는 거죠. 또 한가지, Go가 정말 저렇게 급성장하고 있는지는 좀 의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TIOBE 인덱스는 구글의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데, 비리(?)까지는 아니라고 해도 기술적인 이유로 Go 언어가 좀 더 잘 검색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올가을에 델파이가 완전히 크로스플랫폼 네이티브 언어로 재탄생하게 되면 이 인덱스에 어떤 변화가 오게 될지 많이 기대되네요.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Java에 비해 10%조금 넘게 나오네요
http://www.google.com/trends?q=java%2Cc%2Cc%2B%2B%2Cphp%2Cdelphi%2CC%23%2C&ctab=0&geo=all&date=all&sort=0
루비보다는 쬐금 많구요..
http://www.google.com/trends?q=ruby%2Cdelphi%2Cobjective-c%2C&ctab=0&geo=all&date=all&sort=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