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컴퓨터 끌때 자동으로 하드로 backup 되고 다시 키면 자동으로 복구 합니다.
수동으로 해도 되고요. 저같은 경우는 코딩중인것은 HDD를 쓰고요.. 코드가 변하지 않는 (라이브러리성격의 코드들이나 완료된 코드들)을 RAMDISK에 넣어서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봤는데요.. Precompiled Header와 C++ Builder Header, 링크용 고정 라이브러리등을 RAMDISK 에서 운영하니까 컴파일 속도향상이 좋더군요. Object 코드는 파일별 크기가 작기 때문에..그다지 효과가 없더군요. 저는 RAMDISK PLUS 를 사용합니다. 구글링하시면 금방 찾으실수 있읍니다. 일반적인 obj 같은 경우는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작성중인 Source Code를 램디스크에 넣는다는것은 위험한 생각입니다. 아무리 백업을 한다고 하고 , 버전관리에 올린다고 해도 불가항력적으로 시스템 다운이 있을수 있다는 것이죠.. 지나가는 직원이 멀티탭 스위치 눌를수도 있고요..
램디스크에 넣는것은 머리속에서 나오지 않아도 다시 생성할 수 있는것들중 컴파일시 빈번하게 엑세스 하는 파일들을 넣어두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버전관리 시스템을 램디스크에 운영한다면 실질적으로 메모리 낭비의 요인디 됩니다. 물론 버전관리 시스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Subversion의 경우 .svn 에 많은 양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어짜피 램디스크는 제한적인 용량의 한계가 있습니다. SSD 나 HDD 와 같이 무조건 늘릴수 있는 여력이 적죠.. 그러므로 램디스크는 용량에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컴퓨터 끌때 다시 하드로 복사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