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6665] [긴급]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 사례를 보내주십시오
박지훈.임프 [cbuilder] 3149 읽음    2009-08-20 13:49
가볍게 생각했었는데, 여기저기 커뮤니티들에 올라오는 글들과 저희로 오는 연락들로 종합되는 상황을 봤을 때 생각보다 너무 심각하게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델파이를 감염시키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동작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백신이 무조건적으로 감염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오히려 백신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대처로, 방금 안연구소측에 연락하여 담당자 컨택을 요청하였으며, 바이러스체이서측에도 마찬가지로 요청하였습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프로그램에서 해당 코드를 치료(무력화)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만, 저희가 그런 백신을 만들어서 배포하여 다 치료를 한다고 해도, 백신들에서 기존에 가지고 있는 검사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이상 치료된 파일들도 여전히 삭제할 것입니다. 그래서 해당 백신 업체들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카스퍼스키랩 백신에서도 삭제를 한다는 글을 보았는데, 이 세가지 이외에 이번 바이러스에 감염된 프로그램을 무조건 삭제를 하는 백신이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카스퍼스키는 아무래도 해외 업체이니까 대처가 느릴 수 있으니까 국산 백신 업체들에게 먼저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또한, 여러분이 사용하는 패키지/솔루션 프로그램에서 백신으로 인한 진단이 나오는 경우도 제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곳 혹은 개발한 곳에 연락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겠습니다. 긴급하게 조치를 해야 하므로 벤더로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바이러스에 대한 어떤 특별한 추가 정보가 있으시면 역시 저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고객들로부터 델파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피해를 당했다는 인식이 더 퍼지기 전에 처리를 해야 하겠습니다.
장성호 [nasilso]   2009-08-20 14:04 X
정말 그렇습니다.
바이러스인지 모르고 있는 동안에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 바이러스였는데...
백신들이 알게되면서 부터 피해가 나타나고 점점 커지고 있네요.

바이러스 백신 만드는것이
복구하는것보다 삭제하는게 훨씬 쉬우니까 그렇게 만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쩝쩝~!


델마당 댓글에 카스퍼스키랩 백신은 삭제가 아니라 치료한다고 하는 글이 있던데...
다행히 저희회사는 CBuilder가 주 개발툴이라... 전혀 문제 없네요
박지훈.임프 [cbuilder]   2009-08-20 14:08 X
안연구소에서 긴급조치로 V3에서 이 바이러스를 진단하지 않도록 조치했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바이러스체이서는 대응이 너무 느리군요.
곽효근 [hggwak]   2009-08-20 15:35 X
수많은 업체에 나간 바이너리들.... 한숨만 나오네요
크레브 [kkol]   2009-08-20 17:19 X
C++Builder에는 감염되지 않는다고 해서.. 별 관심을 안두고 있지만..
이론적으로 어느 개발툴에나 비슷한 형태의 바이러스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니
심각한 문제네요.
빠른 시일내에 제대로 치료되는 백신이 나왔으면 합니다.
볼랜드포럼 오시는 분들은 C++빌더가 대부분인가요?  별 반응들은 없네요 ^^;
까막.윤창희 [ggamagui]   2009-08-20 19:11 X
제가 델마당에 카스퍼스키로 치료가 되었다는 글을 올렸었는데요.
제가 감염된 것은 아니고, 옆에 분에게서 받은 파일이 감염되었다고 경고가 나오고 치료가 되었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했고요.

UPX 등의 압축은 하지 않은 파일이었고요.
다른 분의 덧글에는 압축한 것일 경우 정상 동작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카스퍼스키에서도 빠트리는 파일이 있다고 하고요.

직접 감염된 것이 아니라, 직접 감염 사례에 대해서는 말하기 곤란하군요.

옆에 감염된 사용자의 경우, 백신 프로그램들이 삭제를 하기 시작하면서 배포 관련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몇몇 PC 에서는 다운 증상도 보이고요.

그렇지만 제일 큰 문제는 실행 파일 삭제라는 사실이죠.
utime.김성하 [utime]   2009-08-21 11:04 X
V3 Light는 해당 파일을 삭제 해 버렸습니다.
덕분에 제 소스 관리 툴에서 더이상 소스를 업데이트 못 받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됐네요... -_-;
(뭐~ 조금 고치면 되것지만... )
박지훈.임프 [cbuilder]   2009-08-22 00:27 X
아마 어제(20일) 아침이었을 겁니다. 어제 점심 정도부터는 V3에서도 삭제하지 않습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6665 [긴급]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 사례를 보내주십시오 박지훈.임프 3149 2009/08/20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