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철 KDI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경제는 적극적인 정부 정책과 함께 국제 금융시장 혼란이 진정되면서 경기 하강세가 비교적 빠르게 마무리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다양한 세수 증대 방안을 포함한 재정 정책을 정상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DI는 과거 선진국들이 1970년대 중반 1차 오일쇼크 시 취했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결과 발생한 부작용을 예를 들며 정책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1차 오일쇼크 이후 선진국들은 아직도 만성적인 적자 기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정운용이 매우 경직화하고 있다는 것.
조 연구위원은 "올해 GDP 35% 내외 수준인 국가 부채가 2013년에는 50%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로 재정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세출 구조조정과 함께 세수 증대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올랐네요;; 달인 호광님도 틀릴 때가.. ㅎㅎ
1500 돌파가 관건인데...
시중 자금이 갈 때가 없는데다가 외국인이 꾸준히 매수세에 있으니까 더 오르지 않을까요?
가장 좋은 지표는 개인들이 계속 매도중이라는 사실....
개인과 반대로 가면 백전백승이라고 나름 터득을... 쿨럭...;;;
어쟀든 낙관중인 개미 1人 입니다.
KDI는 과거 선진국들이 1970년대 중반 1차 오일쇼크 시 취했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결과 발생한 부작용을 예를 들며 정책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1차 오일쇼크 이후 선진국들은 아직도 만성적인 적자 기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정운용이 매우 경직화하고 있다는 것.
조 연구위원은 "올해 GDP 35% 내외 수준인 국가 부채가 2013년에는 50%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로 재정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세출 구조조정과 함께 세수 증대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