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를 하게되면, 과제책임자와 연구원들의 학력 및 신상정보, 급여등이 제출됩니다. 그리고 연구원의 과제참여율에 의해 연구원의 봉급에서 일정부분 현물로 잡히게 될거구요.. 과제금액이 크면, 현물도 많이 잡힐거고, 그러면 연구원도 많이 필요해지겠지요.. ^^ 회사에서 과제에 연구원으로 참여한다고해서 뭐 다른 것은 없겠지요.. 혹시 나중에 경력에 한줄추가할 수 있을지도..
월급 받으실텐데요..
회사에 입사하실때 학위 인정하시고 들어 가셨을거고요.
어짜피 참여해도 인건비 (월급이겠죠) 받는거고요..
정부과제 하면 할일 많습니다. 보고서 쓰는일 만만치 않죠.
윗분 말씀대로 경력 한줄 더 들어가셨다 생각하심이 속 편하시죠.. 손해보는 것은 아니니까요.
혹시 연구 책임자로 들어 가셨으면 좀 다르지만요.. 책임자가 아닌이상 별 손해 없으세요..
프로젝트 실패하는 경우는 좀 그렇지만.. 그런경우 별로 없을 겁니다.
요즘 정부과제의 경우 매칭펀드가 꼭 들어 갑니다.
결국 회사에서도 현물 (한 10 - 20% 될거에요) 출자 할 것이고
흔히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는 돈빼 쓸일이 인건비 뿐이 거의 없습니다.
결국 회사가 넣은돈 빼야 되거든요.. 예전에는 석사 이상만 넣었는데,
요즘은 학사학위도 인정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