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대현님 :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려면 계좌를 만들고 5년이상 유지해야하구요.
5년 되기 전에 통장 깨면 여태까지 공제 받았던거 다 토해내야 합니다. 이자소득세 면제를 받으려면 계좌를 만들고 7년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계좌를 유지하려면 분기당 1만원 이상 입금을 해야합니다. 제가 알기로 계좌를 만들고 돈을 넣지 않고 가지고만 있으면 위의 혜택들을 못 받을 겁니다. (통장 만들 때 은행 직원이 그러더군요) 달마다 입금하는게 아닌 분기당(1~3월, 4~6월, 7~9월, 10~12월) 1만원 이상이니깐 부담은 없으실 겁니다. *** 일반 적금처럼 매월 얼마씩 넣는게 아닙니다! 분기 안에 내가 넣고 싶은 만큼 아무때나 넣으면 됩니다. *** 그리고 분기당 불입할 수 있는 최고 불입액은 모든 금융기관을 통틀어서 300만원까지 입니다. (1년 동안 최대 1200만원을 불입할 수 있는 셈이지요.) 사람들이 보통 장마를 만들면 소득공제를 많이 받을 목적으로 처음부터 엄청 돈을 많이 불입하던데요. 5년, 7년이라는 시간은 상당히 긴 시간입니다. 처음부터 쎄게 달리다간 나중에 급한 돈이 필요할 때 울며 겨자 먹기로 통장을 깨게 됩니다. (여태까지 먹었던거 다 토해내면서 말입니다.) 저 같은 경우도 장마 계좌는 30개나 가지고 있지만 큰 욕심은 부리지 않고 딱 분기당 계좌별로 1만원씩만 입금합니다. (그래도 30 * 4 니깐 1년에 120만원이네요 ^^) 제 계획은 만 5년이 되기 몇 달전부터 통장 하나에 몰빵을 했다가 소득공제 받고, 깨고를 반복할 작정입니다. 수백 만원 몰아놨다가 묶인다 해도 달랑 몇개월일 것이고 그 덕에 최고 3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깐요. 그 사이에 얼마안되는 기간 동안이나마 이자 또한 꼬박 꼬박 받을 것이고... 그리구요. 기간이 7년짜리, 10년짜리, 30년짜리, 50년짜리가 있는데요. 7년짜리만 만들지 말고 30년, 50년짜리도 만들어두세요. 기간이 30,50년이라고 해도 만 7년이 지나면 언제든지 깨도 그 어떠한 페널티가 없습니다. 30,50년 끝까지 채워야 돈 찾을 수 있는거 아닙니다. (^^) 저 같은 경우는 7년짜리 4개 (수협)구요. 나머지 26개는 전부 30년, 50년짜리입니다. (우리은행 11개, 우체국 4개, 신한 5개, SC 제일 6개) 작년까지만 해도 은행 이율이 높아서 장마통장 이율이 상당히 짜게 보였는데요.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오히려 배 이상 높아 보입니다. 이자가 높은 수협은 5.3% 던가, 5.4% 입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변동금리로 3년에 1번씩 이자율을 조절하는거지요. 쩝... 몇 달 있으면 만 3년이 되는데... 이자율이 얼마나 깎일지 모르겠습니다. 쬐금만 깎여야 할텐데... 기타 다른 궁금한 점 있으시면 질문글 올려주세요~~~ 그럼 저는 이만~~~ 참고사항
처음 통장을 만들 때 분기당 불입액을 설정해야 합니다. 1만원에서 최대 300만원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분기당 최대 불입금액을 100만원씩으로 정한다면 만들수 있는 통장 갯수는 3개 밖에 안됩니다. 모든 금융기관을 다해서 분기당 300만원까지만 넣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떤 통장의 분기당 불입 금액을 50만원으로 정했다면 내가 돈이 더 있어도 50만원 넘게는 넣을 수 없지요. 이론적으로는 한 개인이 만들수 있는 최대 장마통장 갯수는 300개가 됩니다. (^^;) 분기당 불입금액을 바꾸려면 신분증을 들고 은행에 직접 가셔야만 합니다. 그럼 저는 이만~~~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7년째 되는해에 1분기300,2분기300,3분기150 = 750을 납입하면 되는건가요?
7년이 되기전까지 입금을 안해도 된다면 좋은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