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5473] [쉬운 재테크] 단기적으로 주식이 반등한 이유와 금융 상식
김호광 [testcode] 3174 읽음    2008-12-09 01:18
간단한 팁...

미국 같은 경우에는 FRB가 금리를 인하하면 금리에 민감한 스마트 머니들이 증시로 몰립니다. 그래서 격언이 이렇습니다.

>  금리를 인하하면 주식에 투자하라.

그럼 응용

> 금리가 인상되면 주식을 처분하라.

주식이 폭락하고 금융이 불안하면 무조건 금리를 내리고 유동성(현금)을 시장에 풀어버립니다.

> 한은이 시중 달러를 공급한 일

그럼 응용

> 한은과 FRB가 통화를 스왑하여 사실상 300억 달러의 2차 외환 보유고를 확대한 일

그럼 더 확대 된 응용

> 글로벌 제로 금리가 도래되면 증시는 폭등한다. 무제한적으로 돈의 흐름을 강제로 증시와 투자로 이동 시키기 때문이다.

http://stock.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08120813282175565&type=1&outlink=2&EVEC


통계를 보는 방법.

1. 설비 투자 조정 압력을 주의해서 보자.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제조업체들의 평균 설비투자 조정압력은 지난 9월 -1.6%에서 10월 6.0%로 급증했다.

설비투자 조정압력은 제조업 생산능력지수의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에서 제조업 생산지수의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을 뺀 것이다. 이는 설비와 인력이 얼마나 남아도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이 수치가 클수록 기업들이 잉여설비 또는 잉여인력을 줄일 유인도 커진다.

http://news.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08120217331328360&type=2&NVEC

설비 투자 조정 압력이라는 복잡한 말인데 실상은 CPU idle 수치이다. 이 수치가 0이면 가장 이상적으로 생산, 인력이 효율화된 상태를 보는 것이다. 하지만 수치가 마이너스면 생산 설비와 인력 구인난이 심각하다는 말이다. 반대로 6% 이렇게 나오면 지금 설비와 인력이 남아서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지금 6%가 과잉이면 약 3 개월 후부터 사람을 짜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즉, 내년 2~3월은 죽음의 레이스가 벌어질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럼 응용

> 고용 보험 신청 금액 / 인원을 첨부하여 보면 실질 구조조정 수준을 알 수 있다.


중국 증시의 폭등

중국 증시가 한달 동안 24% 이상 폭등하고 결국은 상하이 지수가 2000 포인트 이상으로 안착했다. 이유가 뭘까?

> 5810억 달러에 달하는 경기 부양, 증시 부양을 했기 때문이다. 1인당 가지는 현금의 절대적인 수량이 넘치니 그 돈이 증시로 흘러들어간 것이다.

http://news.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08120816293033499&type=2&NMEC

그럼 응용

> 그런 중국 증시 부양, 경기 부양의 문제점은?

내부적인 체질 강화가 되어 있지 않고 단기 부양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스팀팩을 맞은 것처럼, 혹은 바카스를 먹은 것처럼 잠깐 반짝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이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증시 부양, 경기 부양을 했던 것과 유사하다.

중국은 미국의 수출이 풀려야 달러가 들어오고 내수가 진작되기 때문에 중국의 에너지 소비량, 공장 가동률, 철강 소모량 등의 기초 통계를 봐야 한다. 중국의 GDP는 한국이 1980년대에 아시아 4마리 용이라 칭했던 그 시절처럼 불분명하고 왜곡이 있기 때문에 곧이 곧대로 믿으면 안된다.

1천 포인트 때에서 중국 증시에 넣었다면 스마트한 상황이다. 몇 달전에 예언했던 대로 반짝 바카스 효과는 있을 것이다.

왜 MB는 건설에 목을 메는가?

> 건설을 하면  일용직 하위층 노동자에게 현금이 바로 들어간다. 일거리가 있는 동안은 일당으로 생활이 펴지는 것이다. 마치 링겔을 맞는 것이다. 돈을 가장 빨리 중하류층으로 흘려 보내는 방법이 건설이다.

그럼 응용

건설로 돈이 몰리면 안되는 이유는?

> 건설 경기는 중국이 경기 부양, 증시 부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한적인 효과가 있다. 100을 건설에 투입하면 약 10정도가 인건비이고 나머지는 토지비, 건설사 등등이 나눠 먹는다. 문제는 건설사들이 미분양과 PF로 인해서 지금 당장 주거래 은행에서 어음을 만기 연장 하지 않으면 망할 지경이라는 것이다.

건설사들이 돈이 들어오면 빚을 갚는데 사용하지, 건설 경기를 진작하는데 많이 투입 안할 가능성이 높고, 건설사가 돈을 받고 부도가 나면 그 파급력은 한보 그룹 부도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럼 응용... 왜 목을 메는가?

> 건설사가 줄줄히 망하면, 대한 주택 보증이 책임 시공을 해야 한다. 대한 주택 보증은 국민의 혈세가 들어간 특수 목적 회사이다. 그리고 가장 큰 타격은 저축 은행과 은행이 타격을 받고 BIS 자기 자본 기준을 맞출 수 없게 되어, 은행이 구조 조정을 하거나 퇴출, 파산하게 된다.

미국처럼 금융이 서버리면, 시중의 유동성(현금 흐름)을 더욱 압박해서 다른 산업의 자금 지원까지 스톱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럼 응용에 응용

> 건설사는 대마 불사인가? 지금으로써는 그렇다. 대주주의 책임도 묻지 않고 지원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럼 한국의 미래는?

> 미국이 돈을 쏟아부은 끝에 그 유동성(남는 돈)이 한국 증시까지 내려왔다. 내년에 본격적으로 선진국 증시에 편입되면 조금은 변동성이 줄어들 것이다. (어느 정도 지수 선방은 하긴 할 것이다.)

testcode
http://blog.naver.com/testcode
김호광 [testcode]   2008-12-09 01:23 X
진정한 위기는 제로 금리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며, 투자의 혹한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candalgo, 광양 [kongbw]   2008-12-09 23:54 X
좋은 글 잘보고 있습니다  (^-^)

+ -

관련 글 리스트
15473 [쉬운 재테크] 단기적으로 주식이 반등한 이유와 금융 상식 김호광 3174 2008/12/09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