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큐브리드가 오픈소스가 된 것은 KLDP의 권순선님의 주장에 의해 그렇게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권순선님이 NHN에 계시죠) 그래서 이러한 시도는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적적인 측면에서 봐야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kldp.org/node/98472에 관련 글이 있습니다. NHN이 인수한 후 해당 소스를 공개한다는 뜻인가 보네요.
수익성을 따지는 회사 입장에서 돈주고 팔수있는 소스를 라이센스까지 공개한다는건 쉽지 않은 결정인것 같습니다. 결정권자 혹은 결정권자와 잘 통하는 개발자가 있어야 그나마 가능성이 있을듯... 흠.. 그래도 역시 회사에서 진행하는 오픈소스는 뭔가 뒤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을 지우기 쉽지 않네요. 그리고 인수된 그 회사에서 일하던 개발자들 역시 오픈소스화에 동의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인수되기 전에 개발자가 나가서 눈먼 소스를 공개하는 경우라면... 역시 개발자의 가치는 뒷전인 기업 레벨의 정치가 될 수 있을듯... 하지만! ^^ 어쨋든 오픈소스를 봐달라니 저도 좀 관심가져 보고 싶습니다. 어떤 의미인지도 살펴보고... 개인적으로도 요즘에서야 좀 진정된? 눈으로 오픈소스에 대한 그리고 여러 라이센스에 대해 관심을 가져 볼 수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글을 좀 심하게 썼던 거 같긴 합니다만...
제가 NHN의 큐브리드 소스 공개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는 이유가 또 하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질병 하나를 또 보는구나 싶어서였습니다. 뭐든지 정부 주도, 대기업 주도, 이런 식입니다. 그러니까 죽었다 깨어나도 중소기업이나 개인이 하는 일은 모두들 색안경을 끼고 봅니다. "대기업 제품 = 브랜드, 메이커"라고 합니다. 역으로 중소기업 제품은 비메이커라고 부르면서 바로 그 가치를 깎아내립니다. 그러니까 중소기업은 편법과 불법을 마구 동원하지 않는 한 대기업이 되지 못합니다. 미국에서 IBM이나 썬 등에서 자사의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것도 별로 보기 안좋지만(일부 오픈소스 신봉 개발자들은 그것도 무조건 좋은 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오픈소스의 주도권을 개인이나 소규모 기업들이 갖고 있죠. 그런 마당에, 더욱이 우리나라의 척박한 오픈소스 현실에, 오픈소스마저 대기업이 주도한다는 말입니까. 정부 기관들이 오픈소스를 주도하겠다고 나설 때마다 항상 눈쌀이 찌푸려졌었습니다. 다수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필요한 조건인 오픈소스를 정부가 주도해서 잘 되기도 어렵지만, 정부가 주도한다면 그게 진정한 오픈소스가 되는 겁니까. 또하나의 국책 프로젝트일 뿐이죠. 마찬가지로 오픈소스의 토양이 척박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대기업이 주도하는 초대형 오픈소스 프로젝트, 전혀 환영이 안됩니다. KLDP의 운영자가 그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해서 갑자기 반가운 생각이 들지는 않는군요.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이는 외국의 프로리그들이 활성화된 것과 일맥상통하죠.
유럽 대부분의 나라가 오후 5시만 되면 대부분의 점포가 문을 닫습니다.
물론 직장도 끝나버리죠.
그럼 집에가서 뭐 할까요?
네.. 그렇습니다. 할 일이 없습니다.
말 그대로 여가 생활을 마음 껏 즐길 수 있죠.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대부분의 직장인이 오후 9시에 끝납니다.
집에오면 10시입니다.
간만에 일찍 끝나면 친구들이랑 술마시러 갑니다.
우리나라처럼 판타스틱한 밤 문화를 가진 나라는 얼마 없습니다.
이러니 일부 골수 마니아를 제외하고는 프로리그를 보러가지 않습니다.
평일에는 여가 시간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주말에는 평일의 피로를 풀기(잠자기) 바쁩니다.
그나마 주5일제로 바뀌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긴 했는데...
수십년간 쌓아온 서구의 나라들보다 성숙도가 떨어져서 아직 활용도가 매우 낮지요.
월화수목금금금 하시는 분들은 제외하겠습니다 ㅡ.ㅡ
결국은 사회 환경 자체가 오픈 소스 하기엔 힘든 나라입니다.
무조건 외국 문물이라고 좋다고 따라할 필요는 없겠지요...
차라리 법적으로 저작권 등록시에 소스를 같이 등록하게 하고
저작권을 갱신하지 않아 만료된 경우에는 소스를 정부 차원에서
공개하도록 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저도 요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소스포지 들어가기 바쁜...)
아무리 생각해도 우리나라에선 답이 안 나오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