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기본적인 라이선스 정책은, 국내 기업 혹은 개인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위해 일시적으로 해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라이선스의 경우 문제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완전히 해외의 기업이 국내에서 구입하는 경우 라이선스 문제가 생깁니다. 코드기어의 기본 정책은, 특정 지역 기업에게 적법한 라이선스는 해당 지역의 권한을 가진 리셀러로부터 구입한 제품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 조항은 코드기어의 권리이지 의무가 아니라는 거죠. 따라서, 라이선스 조항상으로는 코드기어가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이지만, 해당 지역의 코드기어 지사의 정책에 따라 행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타지역에서 구입한 제품 라이선스를 제한하느냐 않느냐는 해당 지역 시장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그런데 미국같은 경우라면 강하게 제한할 가능성이 큽니다. 일반적으로 미국이나 일본처럼 정식 라이선스에 대한 기업 내 인식이 잘 되어있는 경우, 라이선스 위반 가능성이 있는 소프트웨어가 사내로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구입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노트북을 미국내 사무실 내로 반입하는 것을 전면 금지해서 노트북을 호텔에 두고 방문한 사례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개별 직원이 소지한 노트북에서 불법 SW가 발견된 경우라도 해당 기업이 같이 처벌받도록 되어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런 문제로부터 안전하려면 해당 현지 기업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담당 직원을 통해서 현지의 코드기어 지사에 문의하여 이런 지역적 라이선스 제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족으로... 전에도 언급한 거 같은데, 한국 기업의 미국 등 해외 지사는 법적으로 별개 법인이기 때문에, 본사에서 구입한 제품 라이선스를 지사에서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불법입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예전에 마이크로 소프트 라이센스 담당자에게 문의를 해본적이 있습니다.
아마존 같은 곳에서 영문판을 구입한후 국내에서 사용해두 불법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근데 판매 지역이 제한되어 있더서 ;; 못 구입했던 경험이..
비슷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