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4804] 이지원 시스템의 개요
김진우 [kimjw830] 5957 읽음    2008-07-12 15:46
이걸 개발할 정도면 적어도 관련학과 학사이상은 졸업해야 되지 않나요?
대단하네요........
저도 전산학과인데 DRM이라는 용어는 첨 들어봤네요. ㅡ.ㅡㅋ

--------------------------------------------------------------------------------------------------

봉하마을서 靑자료 접속, 靑서 IP 차단·ID 삭제땐 접근 불가
한국일보 | 기사입력 2008.07.12 02:35

20대 여성, 광주지역 인기기사



이지원(e-知園)은 '디지털 지식정원'의 약자로, 단순한 온라인 보고체계나 전자게시판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문서의 생성과 결재 후 기록까지 전 단계 처리과정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전자문서이지만 프린트를 할 수 있고 해킹 가능성도 없지않다.


청와대에는 2004년 초 도입됐으며, 이 시스템 개발을 진두지휘한 노 전 대통령은 시스템 구축에 참여한 5명과 함께 2006년 2월 특허를 출원했다. 이 시스템의 저작권은 그러나 현재 국가에 귀속돼 있는 상태다. 노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 중에 개발했지만 퇴임 전 국가에 헌납했기 때문이다.

이지원시스템에서 작성된 워드나 아래한글 파일들에 특정 암호화 기능인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가 걸려 있을 경우엔 원본 파일을 복사했어도 이지원시스템이 없는 일반 컴퓨터(PC)에서는 해당 파일들의 열람은 불가능하다.

업계 전문가는 "특정 시스템내에서 작성된 자료에 DRM이 설정돼 있지 않다면 몰라도 DRM이 걸려 있다면 해당 시스템이 깔려 있지 않은 PC에서의 자료 확인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지원 시스템은 또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갖고 있다. 때문에 이 시스템이 깔려 있는 컴퓨터(PC)끼리는 자료 공유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하지만 자료 공유를 원하는 PC끼리 인터넷 프로토콜(IP)과 ID 접속이 상호 허용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지원시스템이 깔려 있는 봉화마을 PC에서 청와대 PC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해도 청와대측에서 봉화마을 PC의 IP를 차단하고 접속자 ID를 지웠을 경우엔 접속이 불가능하다.

업계 전문가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췄다 해도 접속을 원하는 상대 PC에서 접속을 허용하지 않으면 기술적으로 상호 접속을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Lyn [tohnokanna]   2008-07-12 17:14 X
멜론같은 음악사이트에서 파는 음악에도 DRM 이 걸려있죠 ~_~;
nicekr.황경록 [mpbox]   2008-07-13 00:22 X
-.-" Digital Rights Management...
김호광 [testcode]   2008-07-13 00:41 X
한마디로 복사가 되는 것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디지털은 당연히 원본과 사본의 차이가 없지요 -;;
와이군(yypbd) [yypbd]   2008-07-13 19:26 X
초창기에는 컨텐츠내에 사용권한을 포함하여 파일을 받은 사용자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현재 추세는 컨텐츠는 마음대로 배포,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며,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DRM 서버로부터 사용권한(Right Object)를 받아서 사용합니다.

OMA같은 곳에서 정한 DRM 스펙도 있습니다 ^^
012 [mbyes]   2008-07-14 05:27 X
Digital Rights Management = 파일을 암호화 시켜서 특정 키가 있어야 풀리는 것입니다.
또한 키는 Private Key, Public Key 요 두가지가 시장 지배 하고 있습니다.
음악 파일의 경우는 주로 128bit로 Encode 시킵니다. 파일 전체에 암호가 걸리는 것이지만,
64byte 또는 128byte 단위로 블럭을 쪼개서 Encode 시키며, 각각 블럭마다 체인이 있어서
그 또한 블럭과 블럭의 키가 맞아야지만, Decode 됩니다.
음악파일도 VBR 이냐 CBR이냐에 따라 Encode 체인을 하냐 마냐도 결정 됩니다.
이현진 [cyberpd]   2008-07-14 13:17 X
[펌] 청와대 자료 유출에 얽힌 내막, http://razinn.egloos.com/566967
utime.김성하 [utime]   2008-07-14 20:25 X
아~
지금 DRM 때문에 퇴근도 못하고 야근중입니다.~

싫어~ DRM~ ㅠㅠ

+ -

관련 글 리스트
14804 이지원 시스템의 개요 김진우 5957 2008/07/12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