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에 관하여
그 실험은(이름은 제가 잊었습니만)
어째서 그처럼 많은 사람들이 나치의 복종에 따를 수 있었을까?
인간의 이성을 어디까지 신뢰할 수 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진 실험이었는데요
사실상 전기고문은 없었고 비명을 지르는 사람들은 모두 배우였습니다.
상대방이 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볼트수에 맞춰 비명의 크기를 쇼한거죠.
결론은 인간은 자기보다 위에 있는 절대권위에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심리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나치학살이 그런 이유로 가능했다는거죠.
나중에 이 사실을 피실험인들에게 알려줬음에도 불구
많은 피 실험인들이 자책감에 견딜수가 없었죠.
그 중 일부 피 실험인들은
그날의 자기 잘못을 평생 속죄하는 마음으로
봉사와 희생의 삶을 살았다합니다.
실험을 주도했던 스탠리 박사는 엄청 비난을 받았는데요
이후로 미국에는 새로이 법이 정해져서
이같은 종류의 실험을 할 때에는 반드시 피 실험자에게 사전고지를 하도록 되었다고 합니다.(사실상 이런 종류의 실험을 금한다는 것이죠)
그 실험은(이름은 제가 잊었습니만)
어째서 그처럼 많은 사람들이 나치의 복종에 따를 수 있었을까?
인간의 이성을 어디까지 신뢰할 수 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진 실험이었는데요
사실상 전기고문은 없었고 비명을 지르는 사람들은 모두 배우였습니다.
상대방이 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볼트수에 맞춰 비명의 크기를 쇼한거죠.
결론은 인간은 자기보다 위에 있는 절대권위에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심리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나치학살이 그런 이유로 가능했다는거죠.
나중에 이 사실을 피실험인들에게 알려줬음에도 불구
많은 피 실험인들이 자책감에 견딜수가 없었죠.
그 중 일부 피 실험인들은
그날의 자기 잘못을 평생 속죄하는 마음으로
봉사와 희생의 삶을 살았다합니다.
실험을 주도했던 스탠리 박사는 엄청 비난을 받았는데요
이후로 미국에는 새로이 법이 정해져서
이같은 종류의 실험을 할 때에는 반드시 피 실험자에게 사전고지를 하도록 되었다고 합니다.(사실상 이런 종류의 실험을 금한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