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4391] [쉬운 재테크] 씨티 그룹은 왜 200조원의 자산을 매각하는가?
김호광 [testcode] 3330 읽음    2008-05-10 02:22
답: 시티 그룹은 사실상 부도가 났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X라는 은행이였을 경우,

미국 측 해석:

(로이터 통신)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한국의 X 은행이 파생 상품 투자 실패로 인하여 BIS 기준과 자산 손실을 맞아 한국의 국책 은행인 산업 은행이 주 채권단이 되어 구제 금융을 행하기로 했다. 미국의 연준위 고위 관리는 이런 조치가 한국의 경제 신인도와 투명성을 약화시키고 자본주의에 위배되어 결국에는 한국 경제 전체의 신뢰를 떨어트릴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 측 해석:

(KBS 9시 뉴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대형 은행이 부도처리 될 경우 수많은 서민과 소액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각 채권단이 자율적으로 X 은행 채권 매매를 중지 시키고 채권단 회의를 통해 추가 투자하는 방안을 오늘 결의했습니다. 최대 채권 은행인 산업 은행이 회의의 의장을 맡아 X 은행의 경영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미국의 시티 그룹의 경우,

미국 측 해석:

(블름버그)  미국 연준위 관계자에 따르면 시장의 혼란과 선량한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연준위가 각 IB(투자 은행)이 원하는 금액 만큼 달러를 특별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동성 공급에 나서기로 했다. 유동성 공급으로 인하여 서브 프라임 모기지로 촉발된 시장의 불안과 혼란을 불식 시키고 시티 그룹의 안정을 통해 선량한 소액 투자자와 증시를 안정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측 해석:

니네들도 글로벌 자본주의, 글로벌 자본주의하더니, 쌤통이다! 연준위가 무제한으로 달러를 찍을 수 있는 권리가 없었으면 니네도 사실상 IMF 구조조정 맞은 것이야. 달러 약세가 바로 IMF 구조조정과 같이 맞아 버린거지. 사기치다가 걸린 기업을 살려주고, 망하거나 비리로 간 금융권 인사의 퇴직금이 수천만 달러에서 수억 달러가 되니. 니내들이 한국 기업이 불량하다고 말하던 것보다 더 심각한 모럴해저드지.

200조원이면 한국 1년 예산에 필적합니다. 시티 그룹의 증시 코드는 "C"입니다. 아 사랑스러운 단어입니다 ^^

세계 최대 은행인 시티 그룹이 돈이 없어서 각종 자산을 매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시티 은행은 자신의 캐쉬 박스였던 카드 사업부에서도 상당한 손실을 본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리볼빙 카드 연체로 줄줄이 적자로 돌아설지도 모를 지경인 것입니다.

아랍의 왕자 알 왈리드 왕자(사우디 갑부 왕자, 사진은 http://nemo.naver.com/common/popImage.jsp?nfrom=nemo&imageurl=http%3a%2f%2fnemofiles.naver.net%2fnemo1%2f2007%2f10%2f17%2f19%2f67384%2f%25BE%25CB%25BF%25D0%25B8%25AE%25B5%25E5%25BF%25D5%25C0%25DA_rbuza777.jpg)
가  최대 주주인 은행입니다.

한국이 1조 달러를 물렸다면, 당장 IMF에서 각종 조건을 걸고 돈을 빌려주는 척 했을 겁니다. 물론 비싼 이자를 치뤄야했겠지만...

미국은 다행이 기축 통화인 달러를 찍는 나라입니다. 돈이 없으면 찍으면 됩니다.

1세기 경 세계 최고의 강대국이였던 로마 역시 은화를 찍었습니다. 역대 황제들이 은화를 찍었는데, 네로가 은의 함량을 낮춰서 은화의 가치를 줄이고 은화를 좀 더 많이 찍었습니다. 그 후로 골빈 황제 하나가 제대로 은의 함량이 낮은 은화를 만들어 제국 붕괴에 일조했습니다. 악화가 양화를 몰아 낸다가 바로 그 때의 격언입니다.

연준위가 마진콜 압박으로 망한 베어스턴스만 쏙 빼놓고 투자 은행들에게 돈을 빌려줬습니다. 결국  JP 모건은 연준위 돈을 빌려서 파생상품의 유동성 공급 업자 중 대부인 베어스턴스를 먹었습니다. 연준위->베어스턴스 대출이면 누가 봐도 구제 금융이니 쪽팔려서 못하고 대신 파생 상품에 강점인 회사를 찾고 있던 JP 모건이 베어스턴스를 헐값에 집어 삼겼습니다.

시티 역시 엄청난 차입을 통해서 급한 불을 끄고, 아랍 왕자의 추가 투자, 아부다비 투자청의 투자로 겨우 유동성을 확보하고 자산을 매각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한국 정부도 바보가 아닌지라 한국 투자 공사라는 국부 펀드를 통해서 메릴린치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장점은

1. 메릴린치라는 IB를 통해서 미국의 경제 상황 브리핑을 받을 수 있다. - 대주주이기 때문에
2. 월스트리트에 한국 기업이나 한국 관련한 벨류를 상승 시킬 수 있다.
3. 국채 발행, 산업 채권 발행에서 유리한 조언과 협력을 메릴린치에서 받을 수 있다.

기축 통화라는 것이 한번에 무너지지 않습니다. 다행히...

2035년 미국의 GDP보다 중국의 GDP가 앞서고 2055년 다시 미국이 GDP에서 앞설 것이라고 하는 경제 연구소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중국이 대세라도 미국이 커버 플레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다이하드를 보면, 뉴욕에서 도둑들이 연준위의 금을 훔쳐갑니다.

세계 각국은 지급 보증용 금을 뉴욕 연준위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물론 런던에도 있지만 절대량이 뉴욕에 보관중입니다. 기축 통화가 되려면 기축 통화 - 선물(실제 물건과 상품 - 금, 석유, 곡물 등)이 매매가 되어야 합니다.

아직까지는 변동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그러나 와인은 유로더군요 ㅠㅠ 포도주 주산지인 프랑스가 유로권이라 ㅠㅠ 포도주 가격이 대폭등했습니다. 그리고 중국인들이 와인 붐이 불면서 와인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매우 우울스틱한 저글링 러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위안화의 경우 아직까지 그럴 가능성이 드믑니다.

미국은 석유를 살 때 달러를 찍어서 삽니다.

유로화로 석유 거래를 변경했던 후세인은 그 다음 날 조지 부시 대통령이 경제인 간담회에서 "후세인을 끝내주겠다"라고 한마디하고 정말 인생 종쳤습니다. (그 CNN 뉴스를 보다가 그렇게 스트레이트로 화를 내는 부시 대통령을 처음 봤습니다.) 지금 이라크는 다시 달러가 석유 통화가 되었습니다.

최근 핵개발로 미국 폭격설이 흘러 나오는 이란은 흘러나오는 시점에서 석유 통화가 유로화로 변경되었습니다. -;; 달러를 그렇게 좋아하는 북한의 김정일 역시 결재 통화를 유로화로 변경했습니다.  덕분에 더 미움을 샀습니다. -;;

미국은 달러의 헤게모니를 위해서 IMF, IBRD, ADD 같은 은행을 세웠습니다. 1달러 당 투표권 1장입니다. 요즘 IMF의 미국 지분이 줄긴 했지만 아직도 과반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기축 통화를 찍는 국가의 장점입니다.

중국이 먼저 미국의 헤게모니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위안화 경제권을 만들어야합니다. 아시아의 경우 위안화를 아시아에서 자유롭게 통용하지는 못합니다. 워낙 위폐도 많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100위안 보면 위폐인지 감별합니다. -;;

선물 거래와 금융 거래에서 아직 중국은 그 실력이 모자릅니다. 영국이 1차 세계 대전 이후 2차 세계 대전까지 점진적으로 금융 거래의 헤게모니를 뉴욕으로 빼았겼습니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이 이런 이동을 촉진 시킨 것입니다.

현재의 경제 위기는 이런 통화의 헤게모니 이동을 촉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유로, 위안, 엔화 등 다양한 통화로 다극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 시티 그룹으로 돌아가서, 200조원의 자산 매각은 주로 해외 사업장이될 것입니다. 시티 그룹은 중남미 경제 위기 때 주권국가는 부도나지 않는다라고 했을 때 데였을 때도 각종 사업부를 매각하면서 특히 해외 사업부에서 부족한 돈을 차입해왔습니다.

주가가 55% 폭락한 이상 ... 여러가지 상황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돈이 넉넉한 개발자면 해도되는 투자 방법

1. 시티 그룹에 투자한다. 20달러 언저리에서 매입하면 3년 전후로 60달러까지 오를 수 있을 것이다.
2. IB 펀드에 가입한다. 투자 은행 펀드가 있으며 이에 가입한다.


돈은 없지만 모험이 가능한 투자자

1. FX를 한다. (케이블 TV가 아닙니다. ) 네이버에서 물어보시길, 시원하고 화끈한 투자 방식으로 하이리턴일 수 있음
2. ELS를 한다. 좀 더 안정적

돈도 없고 일정 급여 내에서 투자자

1. 종자돈을 만든다.
2. 투자 공부를 많이 한다.
3.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판단한다.
4. 리스크를 분산한다.
5. 펀드 / CMA(MMDA) 등의 상품으로 돈을 불린다.

UBS도 역시 100억 달러 손실을 손실처리 했더군요 -;; 화끈한 폭풍의 계절입니다. 폭풍이 지나가면 상승기가 있을 것입니다. 미국 경제가 과식으로 인한 소화 불량 증세를 보인 것은 아시아 경제 위기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때는 노벨 경제학상을 탄 교수 2명이 있었던 롱텀캐피털 매니지먼트 (LTCM)을 구제 금융으로 몰아갔지만 결국에는 다시 구조조정 후에 미국 경제와 증시는 안정을 찾았습니다.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손실 다 발표하고 구조조정 다 하면 우량한 회사가 되니 ^^ 흑자도 나고 주가도 오르는 것이 당연지사, 그 시기를 잘 살펴야할 것입니다.

투자는 기다림의 미학입니다.

testcode~
smleelms [smleelms]   2008-05-10 13:14 X
한달벌어 한달먹고 사는 월급쟁이 입니다만, 호광님의 글을 볼때마다 속에서 뭔가 꿈트꿈틀하는군요.. ^^:;;  은행에서 자꾸 돈빌려가라고 전화가 오는데.. 흐미~~
아제나 [azena]   2008-05-10 21:33 X
투자는 여윳돈으로 하는거지 돈 빌려서 하면 백전백패입니다.
최소한 3년 안에 쓸 일이 없을 것이다라고 생각되는 자금으로만 하세요...
그러면 주식은 제로썸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이익을 남기게 되어 있답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4391 [쉬운 재테크] 씨티 그룹은 왜 200조원의 자산을 매각하는가? 김호광 3330 2008/05/10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