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이번 광우병 사태를 겪으면서 과격한 표현이 많이 나왔던 것은 사실이고 그래서 저나 신임 시삽이신 안영제님이 적극 제지해왔습니다.
그런데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과격한 표현을 자제해야 한다'라는 말씀은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과격한 표현을 자제하라고 계속 당부했던 것은 같은 생각이거나 다른 생각이거나 관계없이 이곳에 들리는 모든 사람들을 생각해서, 좋은 기분으로 글을 읽기 시작했는데 글의 사실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글의 어투, 사용한 단어 등으로 인해 더 불쾌해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고요. 안영제님도 아마 비슷한 이유일 겁니다. 그런데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고 해서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보다 특별히 더 고려해야 할 이유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런 말씀을 하시는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네요. 제가 참전(?)할 빌미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산 쇠고기를 언급한 이유는,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이 문제를 따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요구하는 OIE 기준을 뛰어넘는 규제를 하고자 한다면, 한국산 쇠고기에 대한 규제의 한도를 넘어서서 규제를 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렇게 한다면 무역장벽을 만드는 셈이고, 미국측의 보복조치를 받아들여야합니다. 과거에 일본이 미국과의 협정에서 OIE 권고를 넘어 보다 확실한 규제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 국내의 쇠고기 관련 규정이 OIE 권고보다 더 높은 강도의 규제를 강제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한국의 국내산 쇠고기에 대한 규제는 OIE 권고사항에도 미치지 못하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수준입니다. 따라서, 한우에 대한 검토는 수입 관련 협상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입니다.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한우가 위험이 많은건 고쳐야 되겠지만, 그렇다고 또다른 위험을 아무 생각없이 수입하는걸 반대하는겁니다.
한우가 더 위험하다고 생각하시면 미국 쇠고기랑 연관짓지 마시고 독립적인 한우 청정 캠페인을 해 주십시오.
왜 한우의 문제점을 이번 수입건이랑 연관짓고 싶어 하는지 저의가 궁금합니다.
한우의 위험도가 30%고 미국소는 1%밖에 안된다고 해도 1%의 추가 위험요소는 받고 싶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