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
|
이전에 다니던 결혼정보회사 듀오에서 기간 업무 시스템으로 델파이로 개발한 시스템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다니는 데이터베이스 성능관리툴 개발회사 엑셈에서도 델파이를 쓰고 있습니다.
안영제님이 언급한 현대증권, 한국투자증권, 그리고 미래에셋증권에서도 델파이를 쓰고 있고요. 제가 잠깐씩이나마 몸담았던 곳들이고, 이 외에도 증권사 중에 델파이를 쓰는 곳이 여러 군데 더 있을 겁니다. 금융권으로는, 그 외 한국은행도 델파이를 쓰고 있고, 증권회사 외에도 제2금융권 다수(대형 보험사들)에서도 델파이를 씁니다. 농협도 일부는 닷넷으로 포팅했지만 여전히 델파이를 더 많이 쓰는 모양이더군요. 아 참, 제가 언급한 것은 모두 외곽의 작은 시스템이 아니라 핵심인 기간계 시스템으로 쓰는 곳들입니다. 만해님이 언급하셨는데, 국내 지능형교통망 시스템(ITS) 프로젝트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LG CNS에서는 2004년이었던가에 자사에서 개발하는 모든 ITS 프로젝트에 C++빌더를 채택했습니다. 채택 과정에 제가 LG CNS에서 출장 교육을 했었기 때문에 잘 알고 있습니다. 이후에 ITS의 다른 한 축인 SDS도 C++빌더를 채택했다고 하더군요. 결과적으로 국내에서 발주되는 거의 모든 ITS 프로젝트는 "강제적으로" C++빌더를 쓰게 되어 있습니다. 궁금하시니까 물어보시고, 저도 재밌어서 써보는 겁니다만, 이런 단편적인 몇군데 레퍼런스들을 언급하면 오히려 훨씬 더 많은 델파이 기반 프로젝트, 프로그램들이 묻혀져버리죠. 다수 회사들이 자사에서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굳이 밝히지 않기 때문에, 델파이와 C++빌더를 사용하는 기업은 실제로는 외부로 알려지는 것보다는 훨씬 더 많습니다. 더 많은 걸 알아보시려면, 구인구직 게시판들에서 기업측의 구인 글들을 보시는 게 더 확실할 겁니다. ㅎㅎㅎ 관련 글 리스트
|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 |
개발툴은 C++ Builder입니다.
그리고 LG CNS 쪾 ITS 쪽은 C++ Builder를 주로 사용걸로 알고 있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