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13480] kbmMW 번역 문서와 프레임워크 소스 공개 관련
박지훈.임프 [cbuilder] 3240 읽음    2007-10-24 06:39
일단 세미나에서 약속드렸던 대로 먼저 kbmMW 관련 번역 문서들을 자료실에 올립니다.
http://cbuilder.borlandforum.com/impboard/impboard.dll?action=read&db=component&no=522

죄송하게도, 소스 공개는 좀 늦어질 것 같습니다.

어제 집에 들어와보니 피씨 윈도우가 맛이 가서, 새로 설치해야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개발툴 설정 등을 하고 나면 3~4일 정도는 소요될 것 같습니다. (지금 포럼에 접속하고 있는 것은 제 피씨의 비상용 OS 설치본인데 암것도 없이 윈도우 자체만 깔려 있습니다)

그러니 소스 공개는 아무래도 다음주 초 정도는 되어야 될 듯 합니다. (며칠전에 말씀드렸다시피 특정 회사와 관련된 부분을 제거하고 그런 후 프레임워크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번주 주말에 저희 집 이사도 있고 개인적으로나 부탁받은 일이 많아서 후다닥 처리는 좀 힘들 듯.

호응이 좋으면 프레임워크 자체에 대한 강좌와 kbmMW 관련 강좌를 해볼까도 생각중입니다. 세미나에서 제 세션을 들으셨던 분들은 '아 어떤 것이군' 정도의 감은 있겠지만 어떻게 해야 할 지 아마 막막하실 겁니다. 중고급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소스만 보고도 충분히 감을 잡고 바로 사용하실 수도 있겠지만, 초중급 분들에게는 좀 힘들겠죠.

프레임워크화와 kbmMW 등 3티어 개발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 글에 댓글로 써주시거나 해서 알려주세요. 단 몇사람 정도를 위해서 엄청난 시간을 들여서 다시 강좌를 할 정도로 시간이 남아도는 건 아니니까요.

그럼...
삼족오 [samjoko]   2007-10-24 09:23 X
감사합니다. 꼭 보고 싶습니다.
임프님 세션듣고 생각한게 많았는데... 아직 정리가 않되서
지금 진행할 프로젝트에도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멀티티어에 업데이트에... 신경 쓸게 너무 많았는데~
신군 [winnerpro]   2007-10-24 09:33 X
세미나 정말 잘 들었습니다...
최근 저도 프레임워크화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소스 공개해 주신다고 해서 매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부득이한 사정이 생기셨다니 당연히 조금더 기다려야겠져-
힘드시겠지만 좀더 구체적인 강좌가 있으면 더 좋겠습니다....
항상 노력해주신 점 깊이 감사하고 있습니다.. ^^
까막 [ggamagui]   2007-10-24 11:26 X
평소에 3티어를 공부해 보려고 했어도, 접근이 무척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세미나 때 포스트잇으로도 자료가 있는지 문의 했었는데요.
소스까지 주신다니 무척 고맙읍니다.
강좌도 하신다면 꼭 참석하고 싶군요.
감사합니다.
손승우 [mrson]   2007-10-24 14:06 X
세미나를 듣고 자바의 경우 스트럿츠  같은 프레임웍 들이 존재 하는데 비해 예전에 볼랜드나 지금의 코드기어 에서는 그러한 프레임웍을 만들어 공개 하였다면 지금 보다 훨신 많은 고객(개발자)을 확보 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임프님의 강좌로 많은 것을 얻었구요 한편으로는 여태 뭐 했나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강좌를 해 주신다면 많은 분들께서 업그레이드 되실거 같습니다. 물론 100% 감사드릴거구요 ^^;
박지훈.임프 [cbuilder]   2007-10-24 14:31 X
말씀하신 자바나 닷넷과 직접 경쟁할 만한 프레임워크로, 델파이 8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ECO가 있습니다. 다만 2006까지는 닷넷 WinForms 프로젝트만 지원했기 때문에 기존 델파이 개발자들에게는 많이 낯설었습니다만, 이번의 2007에서는 RAD 스튜디오 2007의 델파이 닷넷 2007에서는 VCL.NET을 지원하기 때문에 훨 친숙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남은 치명적인 문제... 닷넷 필수라는 것입니다. MDA 개발 방법론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도 좀 부담이지만 공부야! 하면 되지만 서버는 물론 클라이언트까지 닷넷으로 도배를 해야 한다는 것은 좀 무리가 있죠. 이번 세미나 전날 따로 만났을 때 닉 호지스씨에게 다시 한번 Win32 VCL을 지원할 계획에 물어봤는데, 적극 고려중이지만 닷넷에 의존하는 부분 때문에 단시간내 지원은 힘들겠다는 답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ECO가 Win32를 지원하거나, MS의 오매불망 바램대로 닷넷이 사용자 환경에 폭넓게 퍼지는 그날이 오면 ECO를 적극 도입해보고 싶습니다. 내년 세미나를 ECO를 얹은 새 프레임워크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같습니다.
Joseph [psalm]   2007-10-24 22:34 X
Sorry for English but I cannot input Korean right now. I couldn't join the seminar since I am out of Country, but I am very interested in framework. So if you give us lectures regarding framework, it will be great for me. Thank you.
박지훈.임프 [cbuilder]   2007-10-25 10:36 X
Joseph님, 해외에서 수고가 많으시네요. ^^
혹 오해가 있을지 몰라서 간단히 소개를 하자면, 제 프레임워크는 모델 기반이라거나 다른 어떤 특정 방법론에 기반한 것은 아니고, 오히려 방법 면에서는 이전의 델파이 방식을 그대로 답습합니다. 이것은 의도적인 것입니다.

이 프레임워크의 주 목표는 기존의 C/S 방식에 익숙한 개발자들에게 되도록 최소한의 러닝 커브로 개발 표준화와 3티어를 접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화면 단위 프로젝트 각각에 대해 관리 등의 부하를 프레임워크 내부적으로 모두 처리해서 각각의 개발자가 화면 자체의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3티어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은 kbmMW에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와 미들서버 양쪽에서 데이터셋 기반으로 모든 일을 다 처리해줍니다. kbmMW는 제 프레임워크의 핵심이긴 하지만, 사실상 kbmMW는 제 프레임워크 위에 올라가 있는 셈이고 구조상 어느 정도는 분리가 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kbmMW외에 DataSnap(MIDAS)나 데이터셋 구조를 지원하는 다른 서드파티 멀티티어 컴포넌트로 대체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을 겁니다. kbmMW가 데이터스냅이나 다른 컴포넌트들에 비해 비교적 기능이 많고 성능상 뛰어나기 때문에 선택한 것일 뿐, 반드시 kbmMW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희망하기로는, 향후 ECO가 Win32를 지원하게 되고 그래서 ECO(전체 혹은 일부 기능을 빌려와서)로 kbmMW를 대체시켰으면 합니다. 그래서 닉에게도 다시 한번 ECO의 Win32 지원을 요청했구요. (여러번 받은 요청이라고 하더군요)
골땡초보 [yhsuk]   2007-10-25 16:42 X
개인적으로는 가장 유익했던 세션이 아닌가 싶습니당.. 다 알아들은 건 아니지만 잘 들었습니다..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프레임워크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길남 [hankilit]   2007-11-01 17:14 X
세미나 신청해놓고 피치 못하게 참석할 수 없었읍니다.
이번 세미나 내용중에서 임프님  강좌는 어떤 일이 있어도
들어야지 했는데 참석도 못했읍니다.
가능하시면 한 수 지도 편달 바람니다.

+ -

관련 글 리스트
13480 kbmMW 번역 문서와 프레임워크 소스 공개 관련 박지훈.임프 3240 2007/10/24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