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MS에서 버쳘서버 새 버전의 베타테스트를 종료하고 정식 제품을 릴리즈 했습니다.
Virtual Server 2005 R2 SP1 입니다.
한가지 눈에 띄는게 이번에 새로 추가된 VHDMount군요.
이게 뭔고 하니... 버쳘 PC에서 사용하는 가상 하드디스크 있죠? 그게 vhd파일인데, 이놈을 윈도우의 가상 하드디스크로 마운트 시켜주는 유틸리티입니다.
한가지 사용예를 들자면
1. Virtual PC에서 130GB(지원 가능한 최대크기입니다) 짜리 가상 하드디스크를 만들고 VirtualPC를 종료한다(OS설치는 하지 않고)
2. VHDMount로 vhd파일 마운트
3. 디스크관리자에서 일반 하드디스크처럼 파티션 생성후 NTFS로 포맷
4. 적절한 드라이브 문자(예에서는 z:) 지정 혹은 특정 디렉토리로 마운트 설정 변경
이런식으로 하면 130기가짜리 가상 하드디스크가 z:드라이브로 연결됩니다.
물론 실제 vhd파일이 130기가를 차지하지는 않습니다. 저장된 파일 용량보다 약간 작은 크기(클러스터 단위로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공간 절약효과가 있는 듯 합니다)만 차지하게 되죠.
제 경우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수십만개 있는 디렉토리가 있는데 이걸 전부 vhd에 넣어버렸습니다. 속이 다 시원하네요. 카피할때도 vhd파일 하나만 옮기면 되고 삭제하고자 할땐 vhd파일을 통째로 날려버리면 되니까 작은 파일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경우 관리가 아주 간편해집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마운트:
VHDMount /m [VHD파일(반드시 풀패스)]
언마운트:
VHDMount /u /c [VHD파일(반드시 풀패스)]
여기서, /c는 커밋입니다. /d를 쓸 수도 있는데 이건 디스카드. 즉, /m으로 마운트 한 경우 기본적으로 undo디스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마운트된 가상 디스크에 파일복사등으로 변화를 준 상황에서 /d옵션으로 언마운트 시키면 변화내용이 전혀 기록되지 않게 됩니다. 이때문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파일 복사를 무지무지 많이 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부족으로 처리할 수 없다고 에러가 뜨더군요. 이런 경우엔 에러메시지창을 취소로 닫고 언마운트한 후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마운트 할 때 /f 옵션을 주면 undo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위의 에러를 볼 일도 없겠죠.
어디에 써 먹으면 좋은지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잘 사용하면 꽤 도움이 될만한 유틸인 듯 합니다.
참고로, Virtual PC 2007, Virtual Server 2005 R2 SP1은 모두 무료이므로 MSDN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